강원도의 강제 철거 계고 처분 관련 행정소송에서 패소한 속초항 연안여객터미널 민간 사업자 A사가 법원 판결에 불복해 항소장을 제출했다. 이에 강정호 강원특별자치도의원(국민의힘)은 법적 다툼을 중단하고 원상 회복에 협력할 것을 촉구했다. A사는 2017년 사업 허가를 받았으나 수년간 '선박 유치' 조건을 이행하지 못해 터미널 건물이 빈 상태로 방치되어 왔으며, 도는 지난해 자진 철거 계고처분을 내린 바 있다.
기사는 속초항 터미널의 '빈 건물 방치' 문제를 정의하며, 그 원인을 민간 사업자 A사의 '조건 불이행'과 '무책임한 항소 제기'로 프레임한다. 해결책으로는 강정호 도의원의 주장을 인용하여 '법적 다툼 중단'과 '원상 회복 협력'을 제시한다. A사는 항만 사용료 미납 및 시민 피해 유발자로 묘사되어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화되며, 이는 도의원의 주장을 정당화하는 프레임으로 사용된다. 기사는 A사의 입장을 전혀 다루지 않음으로써, A사가 일방적으로 문제를 야기하고 해결을 지연시키는 주체로 강력하게 각인시키는 편향된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다.
기사 전반의 어조는 강정호 도의원의 비판적 입장을 강하게 반영하며, A사에 대해 부정적이고 비난조를 띤다. 도의원의 '목소리를 높였다', '유감이고', '큰 피해를 주고 있다'와 같은 감정적 언어 사용을 직접적으로 인용하여, 독자들에게 A사의 행위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유도한다. 이는 A사의 책임과 불성실함을 강조하고, 도의원(국민의힘 소속)의 주장을 설득력 있게 전달하려는 의도를 보여준다. 특정 정치적 입장(지역 정치인, 국민의힘)에 유리한 감정(불만, 분노)을 유도하는 경향이 있다.
기사는 정보의 균형성 측면에서 심각한 편향성을 보인다. 민간 사업자 A사의 입장은 전혀 제시되지 않으며, 왜 항소를 제기했는지, 조건 불이행에 대한 A사 측의 설명은 무엇인지 등에 대한 정보가 완전히 누락되어 있다. 모든 정보는 강정호 도의원의 발언과 강원도의 입장에서만 제공되어, A사를 일방적인 가해자로 몰아가는 구조이다. 인용된 출처는 강정호 도의원 한 명으로 제한적이며, 객관적인 제3자나 A사 측의 의견은 부재하다. 이러한 정보의 누락은 독자들이 상황을 왜곡된 시각으로 이해하게 만들 수 있다.
기사는 '빈 건물 방치', '실익이 없는 항소', '상당 금액을 미납한 상태', '시민들께 큰 피해'와 같은 부정적 함의를 가진 단어와 구문을 사용하여 A사의 행위를 비판하고 그 부정적 영향을 강조한다. 이러한 단어 선택은 A사에 대한 독자의 부정적 인식을 강화하고, 강정호 도의원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수사적 장치로는 '목소리를 높였다'와 같은 직접 인용을 통해 도의원의 강한 의지를 부각시키고, A사의 '조건 불이행'과 '빈 건물 방치'를 반복하여 문제의 심각성을 강조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 기사는 속초 지역의 주요 현안 중 하나인 항만 터미널 방치 문제에 대한 지역 정치인의 개입을 다루고 있다. 강정호 도의원(국민의힘)의 발언은 지역 주민들의 불편과 우려를 대변하며, 공공 시설물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맥락에서 이루어졌다. 기사 작성의 의도는 이 문제에 대한 강정호 도의원의 강력한 입장을 보도하고, 이를 통해 민간 사업자 A사의 항소 중단과 문제 해결을 압박하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는 지역 정치인이 지역 사회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모습을 부각하고, 특정 정치적 목표(문제 해결 촉구)를 달성하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이 기사는 속초항 터미널 방치 문제에 대한 강정호 도의원(국민의힘)과 강원도의 입장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며, 민간 사업자 A사를 부정적으로 프레임하고 있다. A사 측의 설명을 완전히 배제한 정보의 불균형, 비판적 어조, 그리고 특정 단어 선택은 기사에 뚜렷한 편향성을 부여한다. 이는 독자들이 특정 정치적 입장과 주장에 동조하도록 유도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