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신당은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와 김병기 원내대표 간 특검법 개정안 처리 관련 갈등설이 불거지자, 민주당의 결정이 강성 지지층인 '개딸' 팬덤의 눈치 보기에 따른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동훈 수석대변인은 여야 합의가 하루 만에 뒤집힌 것은 팬덤의 기분 때문이라며, 민주당이 검찰청 폐지, 야당과의 협치, 특검법 등에서 일관되게 팬덤의 목소리에 무너졌다고 주장했다. 또한, 민주당의 실세는 '김어준이 주도하는 충정로 팬덤'이며, 팬덤정당은 협치를 할 수 없고 그 끝은 '이재명 정권의 몰락'이라고 경고했다.
이 기사는 개혁신당의 논평을 중심으로 더불어민주당의 의사결정 과정을 '팬덤정치'라는 프레임으로 비판하고 있다. 문제의 원인을 '개딸'로 지칭되는 강성 지지층의 과도한 영향력으로 규정하며, 당 지도부가 합리적 판단이나 협치 약속보다 팬덤의 기분에 휘둘린다고 보고 있다. 이는 민주당의 내부 역학을 비정상적이고 비합리적인 것으로 규정하며, 궁극적으로 '이재명 정권의 몰락'을 예언하는 파멸론적 시각을 제시한다. 이러한 프레임은 특정 정치 세력이 대중의 감성에 휘둘려 이성적 판단을 상실했다는 우파적 비판 논리와 유사하게 작동하며, 민주당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강화하려는 의도를 내포한다. 다른 관점, 즉 민주당 내부의 다른 의사결정 과정이나 특검법에 대한 민주당의 공식적인 입장은 의도적으로 배제하거나 축소함으로써 개혁신당의 비판을 강화하는 데 활용되었다.
기사 자체는 개혁신당의 논평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비교적 중립적인 어조를 유지하려 하지만, 개혁신당 대변인의 강력한 비판적이고 다소 감정적인 언어를 직접 인용함으로써 민주당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간접적으로 전달한다. '뒤집혔다', '무너뜨렸고', '겁먹은 손바닥 뒤집기', '무너졌다', '몰락' 등의 단어들은 민주당의 행보에 대한 강한 비난과 부정적인 감정을 유도한다. 특히 '이재명 정권의 몰락'과 같은 과장된 표현은 독자에게 민주당의 미래에 대한 비관적인 인식을 심어주려는 선동적인 의도가 엿보인다. 이는 개혁신당의 정치적 입장을 독자에게 유리하게 전달하기 위한 전략으로 사용되었다.
이 기사는 개혁신당의 이동훈 수석대변인 논평을 거의 전적으로 인용하여 구성되었다. 특검법 처리와 관련한 민주당 내 갈등설에 대한 개혁신당의 시각만을 제시할 뿐, 더불어민주당 측의 설명이나 반론, 혹은 논평 내용의 사실 여부를 검증하는 정보는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여야 합의 하루만에 뒤집혔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개딸 팬덤의 영향력을 주장하지만, 이 '합의가 뒤집힌' 구체적인 경위나 민주당의 공식적인 입장에 대한 정보는 누락되어 있다. 따라서 정보의 균형성이 매우 결여되어 있으며, 특정 정치적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정보가 선택적으로 사용되었다고 볼 수 있다. 출처의 신뢰성 또한 개혁신당의 일방적인 논평에만 의존하고 있어 한계가 명확하다.
기사는 '대통령 위에 대표, 대표 위에 팬덤', '개딸 팬덤', '손바닥 뒤집기', '이재명 정권의 몰락', '충정로 팬덤' 등 특정 정치 세력을 부정적으로 묘사하고 비판하는 데 사용되는 강력하고 선동적인 용어들을 포함하고 있다. '개딸'과 '충정로 팬덤'은 민주당 강성 지지층을 비하하거나 특정 인물(김어준)을 통해 민주당을 비판하는 데 자주 사용되는 표현이다. '손바닥 뒤집기'는 비일관적이고 신뢰할 수 없는 행동을 비판하는 부정적 함의를 가진다. 이러한 단어 선택은 민주당의 결정이 비합리적이고 신뢰할 수 없다는 인식을 독자에게 심어주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팬덤정당은 협치를 할 수 없다'는 일반화와 '그 끝에 기다리는 건 단 하나, 이재명 정권의 몰락'과 같은 과장된 종말론적 수사적 장치를 통해 개혁신당의 주장을 극대화하고 있다.
이 기사는 특검법 처리 과정에서 여야 간, 그리고 민주당 내부에서 갈등이 불거지는 시점에 작성되었다. 개혁신당은 양대 거대 정당의 비합리적 행태를 비판하며 '제3지대' 또는 '합리적 대안'으로서의 정체성을 구축하려는 맥락에서 민주당의 '팬덤정치'를 비판하고 있다. 기사의 목적은 개혁신당의 이러한 비판적 논평을 보도하여, 민주당의 내부 문제를 부각하고 팬덤정치의 폐해를 강조하는 데 있다. 이는 독자에게 민주당이 합리적 판단 대신 특정 지지층에 휘둘리는 '구태정치'를 한다는 인식을 심어주고, 개혁신당의 비판이 타당하다는 정치적 견해를 간접적으로 주입하려는 의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개혁신당은 이러한 비판을 통해 자신들의 정치적 존재감을 드러내고, 양대 정당에 실망한 유권자들의 지지를 얻으려는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이 기사는 개혁신당의 논평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며 더불어민주당의 의사결정 과정을 '팬덤정치'로 규정하고 강력하게 비판한다. 정보의 균형성이 결여되어 민주당의 반론이나 다른 정보가 전무하며, 사용된 언어와 프레이밍이 민주당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형성하는 데 집중되어 있다. 이는 특정 정당(개혁신당)의 정치적 주장을 대변하고 다른 정당(민주당)을 비판하는 데 치우쳐 있어 강한 편향성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