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 외교부 장관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APEC 정상회의 초청장이 발송되지 않았으며, 이를 계기로 한 미북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은 현재로서는 매우 낮다고 밝혔다. 또한 우원식 국회의장과 김정은 위원장의 접촉 가능성에 대해서도 희망적이지 않다고 언급했다. 김정은 위원장의 중국 전승절 열병식 참석에 대해서는 러시아의 한계를 깨닫고 소원해진 중국과의 관계 복원을 시도하는 것으로 분석했지만, 북중 관계 역시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조 장관은 북한이 제대로 된 정상 국가가 되려면 미국 및 대한민국과 협력해야 함을 알고 있을 것이라고 말하며, 김정은의 방중이 미북 회담의 사전 포석이라는 시각에 대해 '상상력이 풍부하다'며 반대 방향의 가능성도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는 북한의 외교적 행보와 한반도 주변 정세에 대한 대한민국 외교부 장관의 공식적인 견해를 전달하는 프레임을 사용한다. 문제 정의는 북한의 국제사회 편입 및 비핵화 경로의 어려움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김정은의 최근 행보(중국 방문)를 북중 관계 복원 시도로 해석하면서도 그 한계를 지적한다. 해결책이나 희망적인 전망보다는 현 상황의 난관과 보수적인 전망을 강조하며, 북한이 '제대로 된 정상 국가'가 되려면 미국 및 한국과의 협력이 필수적이라는 관점을 제시한다. 이는 현 정부의 대북 정책 기조와 일치하는 우파적 프레임으로, 북한의 독자적인 외교적 노력을 제한적으로 평가하고, 한미동맹을 통한 압박과 제재를 우위에 두는 시각을 강화한다.
기사 전반의 어조는 현실적이고 냉정하며, 북한 관련 낙관론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취한다. '매우 낮다', '크게 희망적이지는 않다',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와 같은 표현들을 통해 특정 정치적 입장에 대한 선호도(현 정부의 보수적 대북 기조)를 나타낸다. 특히, 김정은 방중이 미북 회담 사전 포석이냐는 질문에 '상상력이 풍부하신 것 같다'고 답변한 부분은 긍정적 기대를 비꼬는 듯한 감정적 언어로, 독자의 기대를 꺾고 정부의 신중론에 동조하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지닌다. 이는 특정 정치적 관점에 유리한 감정을 유도하는 전략으로 볼 수 있다.
기사는 조현 외교부 장관의 발언만을 유일한 정보 출처로 삼아 정보의 균형성이 결여되어 있다. 북한의 관점이나 다른 전문가들의 해석, 혹은 국제사회의 다양한 시각이 전혀 제시되지 않아 편향성이 매우 높다. 정부의 공식 입장을 대변하는 인사의 발언만을 다룸으로써, 현 정부의 대북 정책 기조와 궤를 같이 하는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는 특정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정보가 선택적으로 사용되었음을 보여주며, 누락된 정보(예: 북한의 공식 입장, 다른 외교 채널의 평가)가 기사의 전체적인 맥락과 해석을 일방적으로 형성한다.
단어 선택은 전반적으로 회의적이고 보수적인 입장을 강화한다. '매우 낮다', '크게 희망적이지는 않다' 등은 부정적인 전망을 부각시킨다. 특히 '북한이 제대로 된 정상 국가가 되려면'이라는 표현은 현재 북한이 '정상 국가'가 아니라는 부정적 함의를 담고 있으며, 이는 미국과 한국의 관점에서 북한의 변화를 유도하려는 의도가 내포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반대 방향으로 갈 가능성도 대비해야 한다'는 표현은 북한의 행동에 대한 경계심과 의구심을 강조하며, 정부의 강경한 대북 정책 기조를 정당화하는 역할을 한다. '상상력이 풍부하신 것 같다'는 수사적 장치는 낙관적인 전망을 제시하는 질문자를 간접적으로 비판하고, 불필요한 기대를 차단하려는 의도를 보인다.
이 기사는 조선일보라는 보수 성향 언론사를 통해 보도되었으며, 현 윤석열 정부의 대북 정책 기조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윤석열 정부는 북한에 대해 '비핵화 우선' 원칙을 강조하며, 이전 정부와 달리 적극적인 대화보다는 원칙적이고 강경한 입장을 유지해 왔다. 조현 외교부 장관의 발언은 이러한 정부의 대북 정책 기조와 궤를 같이하며, 독자들에게 정부의 입장과 북한에 대한 신중한 접근법을 주입하려는 의도가 강하다. 기사 작성자는 외교부 장관의 권위 있는 발언을 통해 정부의 입장을 확고히 하고, 대북 문제에 대한 불필요한 낙관론을 경계하려는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국내외 정세 속에서 현 정부의 대북 정책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이 기사는 대한민국 외교부 장관의 발언을 통해 현 정부의 대북 정책 기조와 입장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며, 북한의 외교적 행보에 대해 매우 회의적이고 비판적인 시각을 유지한다. 다양한 관점이나 대안적 해석 없이 정부의 보수적인 시각만을 반영하고 있어, 독자에게 특정 정치적 견해를 주입하려는 의도가 강하게 드러나는 우편향적인 기사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