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정치검찰 조작기소대응 특별위원회가 윤석열 정부 당시 검찰이 쌍방울 대북송금 사건을 조작 기소했다고 주장하며 법무부와 검찰에 즉각적인 재수사를 촉구했다. 특위는 최근 국회 청문회에서 KH그룹 부회장 조경식 씨가 검찰이 김성태 전 쌍방울그룹 회장에게 허위 진술을 강요했으며,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도 연루됐다고 증언한 것을 근거로 이 사건을 '희대의 조작기소 사건'으로 규정했다. 특위는 법무부와 검찰이 김성태 회장 일당의 허위 증언 여부 및 권성동·이철규 의원의 개입 여부를 전면적으로 다시 수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사는 '쌍방울 대북송금 사건'을 윤석열 정부 검찰이 야당 정치인을 겨냥해 '조작 기소'한 사건으로 프레임화하고 있다. 문제의 원인은 '정치검찰'의 권력 남용과 특정 정치권 인사(권성동, 이철규 의원)의 결탁으로 제시된다. 해결책으로는 법무부와 검찰의 즉각적인 '재수사'를 촉구하여, 기존 수사의 정당성을 전면 부정하고 사건의 진실을 새롭게 규명해야 한다는 관점을 제시한다. 이 프레임은 현 정부의 사법 시스템에 대한 불신을 조장하고, 특정 정치적 이념이나 집단(야당)을 옹호하며 여당과 검찰을 비판하는 좌파적 관점을 강하게 반영한다.
기사 자체는 민주당 특위의 주장을 전달하는 '전달형' 어조를 띠지만, 특위의 발언을 직접 인용함으로써 그 안에 내재된 강한 비난적, 비판적, 선동적 감정을 독자에게 그대로 전달한다. '정치검찰 조작기소대응TF', '무리한 기소', '조작 기소 실상이 밝혀졌다', '유례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희대의 조작기소 사건', '강력히 촉구한다' 등의 표현에서 검찰과 현 정부에 대한 부정적 감정과 분노, 불신을 유도하는 감정적 언어 사용이 두드러진다. 이는 특정 정치적 입장에 유리한 감정(정부 비판, 야당 옹호)을 유도하고 독자의 인식을 형성하려는 의도가 강하다.
기사는 정보의 균형성이 심각하게 결여되어 있다. 민주당 특위의 주장과 한준호 의원, 조경식 씨의 증언만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며, 검찰의 입장, 반대 측의 주장, 또는 사건에 대한 중립적인 사실 관계 등을 전혀 제시하지 않는다. 인용된 출처는 모두 민주당 특위 또는 그들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인물에 국한되어 있으며, 신뢰성 검증 없이 일방적인 주장을 사실처럼 전달하는 경향을 보인다. 누락된 정보(검찰의 공식 입장, 권성동/이철규 의원의 반론, 기존 수사 내용 등)가 기사의 전체적인 맥락을 심하게 왜곡하고 있으며, 독자가 한쪽 주장만을 접하도록 유도하여 강한 정보 편향성을 보인다.
기사에서는 '조작기소', '정치검찰', '결탁', '누명', '희대의' 등과 같이 강한 부정적 함의를 가진 단어와 구문이 반복적으로 사용되어 검찰의 행위를 불법적이고 부도덕한 것으로 규정한다. '희대의 조작기소 사건'과 같은 수사적 장치는 과장법을 통해 사건의 심각성을 극대화하고 독자의 감정적 반응을 유도한다. 이러한 단어 선택은 특정 정치적 관점(검찰 불신, 야당 옹호)을 옹호하고 반대하는 데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되어, 기사의 전반적인 메시지가 강한 비판적 성격을 띠게 만든다.
기사는 더불어민주당이 윤석열 정부의 검찰 수사에 대해 지속적으로 '정치 탄압' 및 '조작' 의혹을 제기하는 현재의 격렬한 정치적 맥락 속에서 작성되었다. 특히 이재명 대표와 관련된 사법 리스크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이와 관련된 사건(쌍방울 대북송금)의 공정성을 문제 삼는 것은 야당의 정치적 방어 전략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기사 작성의 의도는 민주당 특위의 주장을 대중에게 널리 알리고, 검찰과 정부에 대한 불신을 확산시켜 특정 정치적 견해(검찰 수사의 부당성)를 주입하려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를 통해 여론을 형성하고 정부와 검찰에 대한 압박을 가하려는 전략적 의도가 엿보인다.
이 기사는 더불어민주당의 주장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며, 검찰과 현 정부에 대한 강한 비난과 불신을 조장하는 매우 편향된 시각을 제시한다. 정보의 균형성, 출처의 다양성, 중립적인 어조가 결여되어 있어 특정 정당의 정치적 주장을 대변하는 선전적인 성격이 강하다. 전반적으로 좌편향적인 경향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