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학사 졸업생 모임인 숙우회는 약 6,000명의 졸업생을 배출하며 50년간 강원자치도 발전에 기여해 온 단체다. 2016년 사단법인으로 전환된 이후 후원금이 8년간 약 4억 7,400만원으로 크게 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장학사업, 학사 시설 개선 지원, 진로 및 취업 멘토링 등 후배 지원 활동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최근 50주년 기념행사 준비 간담회를 개최하며 지속적인 활동 의지를 다졌다.
이 기사는 숙우회의 50년 역사와 후배 사랑이라는 긍정적 활동을 조명하는 '성공 사례 및 공동체 찬양'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다. 숙우회가 강원자치도 발전에 기여하고 후배들을 지원하는 모범적인 단체임을 부각하여, 독자로 하여금 해당 단체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형성하도록 유도한다. 특정 정치적 이념을 강화하거나 다른 관점을 배제하는 의도는 보이지 않으며, 단체의 가치와 활동을 홍보하는 데 집중한다.
기사의 어조는 전반적으로 매우 긍정적이고 찬양적이다. '각별한 후배 사랑', '활발한 활동', '크게 늘었다', '유대감도 깊이 형성됐다'와 같은 감정적 언어와 긍정적 함의를 가진 표현들을 사용하여 숙우회의 활동과 성과를 높이 평가하고 있다. 이는 독자에게 숙우회에 대한 호의적인 감정을 유발하고, 단체의 기여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한다. 특정 정치적 입장을 선호하기보다는 단체의 미담을 강조하는 데 집중한다.
이 기사는 숙우회의 긍정적인 측면만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어, 정보의 균형성 측면에서는 한 단체의 활동을 소개하는 목적에 부합한다. 후원금 증가액 등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하여 신뢰성을 높이고, 특정 인물의 기여를 언급하여 사실감을 더한다. 그러나 단체의 운영상 어려움이나 한계점 등은 전혀 언급되지 않아, 긍정적인 이미지를 강화하려는 의도가 엿보인다. 이는 비판적 분석보다는 홍보성 정보 전달에 가깝다.
기사에서는 '각별한 후배 사랑', '활발한 활동', '크게 늘었다', '재능기부도 활발하게 이어지면서', '유대감도 깊이 형성됐다' 등 긍정적이고 감성적인 단어들을 사용하여 숙우회의 활동을 미화하고 있다. 특정 정치적 입장을 옹호하는 단어는 없으나, 단체의 공적과 미담을 강조하는 데 효과적인 언어적 선택이 이루어졌다. 과장된 표현보다는 성과와 기여를 부각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 기사는 강원일보가 지역 사회의 모범적인 단체인 강원학사 숙우회의 50주년을 앞두고 그 활동과 기여를 조명하며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사회적, 정치적 맥락에서 특별한 편향성을 유도하기보다는, 지역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단체를 소개하고 그 활동을 장려하려는 의도가 강하다. 독자에게 숙우회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심어주고, 동문들의 참여나 기부를 독려하는 등의 목적이 있을 수 있다. 지역 신문으로서 지역 단체의 활동을 홍보하는 일반적인 보도 전략을 따른다.
이 기사는 강원학사 숙우회의 활동과 성과를 긍정적으로 소개하는 데 집중하고 있으며, 특정 정치적 이념이나 주장을 옹호하거나 비판하는 편향성은 거의 없다. 다만, 단체의 미담만을 부각하고 부정적인 측면을 전혀 다루지 않는 점에서 '정보의 선택적 제시'를 통한 긍정적 이미지 형성이라는 미묘한 편향성이 존재할 수 있으나, 이는 홍보성 기사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보인다. 전반적으로 특정 정치적 좌우 편향 없이 단체 홍보에 중점을 둔 기사로 평가된다.